중국의 불교미술(3)
상태바
중국의 불교미술(3)
  • 관리자
  • 승인 2009.04.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미술의 이해

 북위시대 불교

 중구가에서 한(漢)왕조가 공식적으로 역사의 장에서 사라지는 220년부터 진(陣)이 멸망하는 589년까지 약 4세기 동안은 가국, 음모, 투쟁, 분열로 일관하여 한(漢)민족으로서는 암흑시대라 칭할만하다. 이는 유럽에서제국 통일체의 붕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조직과 지적생활에 있어서는 변화와 더불어 창조적인 발효와 부흥이 있었으며, 오래사상인 불교의 중국토착화가 이루어졌다.

 봉건적 사회경제 형태는 굳건히 유지되었지만, 민중생활은 무력해지면서 불안과 동요가 가중되어 안심입명의 방법적 모색이 불교활성화를 촉진시켰다. 이러한 변혁의 시대 - 민족적 사회적 변동이 그렇게도 많았던 4세기 후반 화북은 티베트의 장군 부견(符堅:357-385제위)에 의해 잠시 통합되었으나 그의 왕조(秦)는 강남을 정복하려는 야심이 383년 비수전에서 좌절된 후 곧 붕괴되었다. 화북의 안정된 통일은 선비족인 탁발씨(拓跋氏)가 세운 북위(北魏)에서 이루어졌다. 북위는  동위(東魏, 534-550), 서위(西魏,534-557), 북제(北齊, 550-577) 북주(北周, 557-581)로 이어지는 북조의 첫왕조였다. 북위에서 불교교단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중국 초기불교시대의 뿌린 씨앗이 발아되면서 북위왕조가 인도의 쿠샨왕조처럼 불교를 열렬히 외호한 연(緣)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북위 말기에 승니의 수가 2백만, 국가적 대찰이 47사(寺) 왕실이 세운 사찰이 849사, 민간인이 세운 사찰이 3만여사라는 사실(辨正論卷三)은 북위 불교교단이 얼마나 융성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 하나의 예일것이다. 천강의 강물이 바다로 흘러들듯 인도에서 꽃핀 불교경전의 대부분이 이 시대에 완벽에 가깝게 한역이 이루어진다. 이는 본격적인 불교연구를 가속화시켜 여러 학과(종파)를 꽃피우게 된다. 또한 불교교단의 사회적 경제적 세력이 팽창하였다. 여기에 제동이 걸린것이 북위 태무제의 폐불(北魏,太平吳君7年:446 A.D) 과 북주 무제의 폐불(北周, 建德 3년:574 A.D)이 잛은 기간이었지만, 그동안 공들여 쌓은 탑에 불을 질러놓은 격이 되었다. 국가 권력에 의한 불교의 흥기와 탄압(法亂)은 당시 종교로서 조직을 갖추기 시작한 도교와의 대립. 항쟁과 무관한 것이 아님ㅇ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강남. 남조의 불교교단도 대단히 융성했지만, 북위시대 탁발씨의 적극적인  불교수용과 승불은 중국불교의 융성기가 북위로 부터 시작 되었다고 하겠다. 남조 불교교단의 성격은 귀족사회의 고답적인 사상 논의에 의해 교학의 발달과 여산(盧山) 백련사(白蓮社)를 대표하는 법사(法社)의 형성을 특색으로 하며, 혜원(慧遠)선사가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을 저술하여(404 A.D) 수행자 본연의 기개세를 드높인 모습에서 남조불교의 성격의 일면을 볼 수 있다 하겠다. 북조 불교교단은 북위 태종때 사문통<沙門統 : 道人統, 僧統, 昭玄統이라 하기도 하는데 국가가 불교교단을 통제 감독할 목적으로 승니를 통찰하고 법무(法務)를 행하게 하는 승관(僧官)제도로 그 기원은 북위 태조때 법과가 '도인통'이 되면서 부터의 일이다> 인 법과(法果)의 "혀재의 황제는 현재의 여래이다" 라고 하는 주장은 북조불교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