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을 위한 불교이해] 업과 윤회
상태바
[현대인을 위한 불교이해] 업과 윤회
  • 불광회 교학부
  • 승인 2009.04.2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生死事大

죽음의 문제는 누구나가 거쳐야 할 필연적 현실이다. 거기에는 아무도 대결할 장사가 없다. 죽음 앞에는 권력도 만고 영웅도 호걸도 목숨을 깎아 지며 번 돈으로도 어쩔 수 없다.

육체적 현상만을 보고 있는 한, 그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범부가 의식하는 죽음이란 육체의 멸뿐이다. 그리고 생에 대하여도 아는 바 없다.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지 알지 못한다. 누군가의 말과 같이 짙은 안개에서 출발하여 안개속을 걷다가 안개 속으로 사라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부처님께서는 이런 인생을 “知中者”라고 했다. 고기의 머리도 꼬리도 보지 못하고 등판만 본다는 뜻이다. 실로는 중간토막마저 제대로 보는 것이 아니지만...

불교에서는 “生死事大”라 하여 生과 死를 함께 중대시한다. 인생에 있어 生死는 각기 한끝이다. 그래서 사람은 살았다 가는 죽어 없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로는 살고만 있는 것이다. 열반은 不死를 의미하고 왕생은 無生의 生이다. 죽는다는 것이 멸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생 생활의 막을 내리고 새로운 생활로의 출발일 뿐이다. 결국 살고 있는 것이다. 잠시라도 아주 죽어서 푹 쉴 겨를이란 없다. 중생이 그 형태를 달리하고 처소 환경을 달리하여 어딘가에서 살고 있다. 죽음이란 결국 낡은 옷을 새옷으로 갈아 입고 새 일터, 새 학교에 전직하거나 새로 입학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왜 교육과 관계시키느냐 하면 인생은 실로 靈的 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수업이기 때문이다. 生으로 입학하고 死로 졸업하며 대개 재입학이 허락되지 않는 그런 교육과정인 것이다.

生死를 左右하는 것

대개 말에서 말이 나고 소가 소를 낳는다. 이것은 유전법칙이다. 인간도 유전일까. 물론 그렇다고 대답하여야 몰상식은 면할 것이다.

헌데 겉보기 물질적 관찰에서는 유전인 듯이 보이고 실지 그렇게 나타나지만 실로는 因果法이다. 受生의 근본요인은 인과다. 인과는 인격의 고하로 좌우된다. 비록 本性을 몰각하여 중생을 감작하고 있을망정 그 나름대로 자성의 청정공덕을 얼마만큼 그 인격위에 보존하고 있는가에 따라 다르다. 그러기 때문에 사람이 사람이 되지 못하고 말이 말로 태어날 수 없는 법칙이 또 있다. 이것을 자업자득이라 한다. 자기나름이라는 뜻이다. 心性의 청정, 인격의 고결, 덕성의 도야 여하에 따라 제각기의 소득을 수확한다. 고급 인간이 되든지 下等濁漢이 되든지 또는 송아지가 되든지... 이것은 전생의 생이고 윤회의 생이다.

물질에 따라서 불멸의 법칙이 있듯이 생명에는 初生 再生으로 生을 반복하는 業力不滅의 이치가 있다. 그러기에 업력이 존속하는 한 중생 생존은 영원하다 할 것이다.

유전의 지배자

이와같이 전전생생하는 중생살이 근원은 인간이 참된 자기 면목의 몰각 - 즉 자기 상실에 있는 것이지만 이런 자기 상실 상태를 무명이라고 한다.

부처님은 중생이 무명 생활에서 벗어날 방법을 가르치신다.

인생에게 무명 흑막을 내리는 원인은 무엇일까. 그것이 업력이다. 업을 착각적 자아의지에서 일어나는 창조적 행위로써 身口意의 세 방면에서 행한 행위이다. 그것은 선일 수도 있고 악일 수도 있다. 이것을 三業이라 한느데 이 업에 따라 현세 후세에 어떤 결과를 가져다 준다. 이것을 업보라 한다. 이 업의 힘이 인류의 운명을 좌우하는 것이다. 이 업에 따라 전생 상속하는 중생의 생에 좋거나 혹은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이 유전인자를 선택하는 업의 능력이다. 그러므로 유전은 업의 결과이며 업력이 지배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