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밀] 행복의 법칙 / 광덕
상태바
[바라밀] 행복의 법칙 / 광덕
  • 광덕
  • 승인 2009.04.0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라밀

행복을 찾는 얼굴들. 부자도 권문세가도 강자도 약자도∙∙∙∙∙∙. 물질 획득으로 감각 추구로 행복을 찾아 헤맸지만 역시 커가기만 하는 가슴의 공동(空洞)을 어찌할까? 그것은 행복이 무엇인지를 몰랐기 때문이다. 행복에 이르는 길, 즉 「행복의 법칙」을 몰랐기 때문이다.

     [1] 행복을 찾는 얼굴들 

   사람은 누구나가 행복을 찾는다. 그러면서도 다들 행복하지는 않는 모양이다. 겉으로는 행복스러운 많은 여건들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도 역시 행복하지는 않은 모양이다. 돈, 권세, 사업, 가족, 명예∙∙∙∙∙∙. 많은 것을 가진 이들이 역시 행복은 빠진 모양이다.

   저들이 행복을 찾는 것은 저들이 욕심이 많아서가 아니다. 행복이라는 구색을 마저 갖추자는 겉치레가 아니다. 재부(財富), 권세, 명예를 쓰고 다녀도 가슴 한 구석에는 싸늘한 바람이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어둠의 입김이, 불안의 구름이 그의 주변을 어루대고 있다. 그의 혼과 마음이 안식을 얻을 보금자리가 없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그리고 행복에의 간절한 소망을 그들에게서 읽는다. 이루지 못한 상태에 사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참고 있는 인종가(忍從家)도 있다. 참고 살아가노라면 어떻게든 되겠지 하는 낙천가도 있다. 이렇게 하면 된다는 기대와 자신을 가지는 사람, 또 그 사이에서 이렇게 할까, 저렇게 할까, 헤매는 사람. 혹은 묵상(默想)으로, 혹은 수행으로, 혹은 좌충우돌 , 혹은 체념으로∙∙∙∙∙∙. 한결같이 현상에서 탈피를 기도한다. 그의 잔잔한 표정에서 또는 그의 흔들리는 눈망울 저 너머에서 우리는 인간의 진실하고 애절한 생명의 소망을 읽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2] 유물론적 행복관이 낳는 공동(空洞) 

   정말 많은 사람들이 행복스러워 보이지만 행복하지는 않았다. 거리를 메우는 사람의 물결, 총총걸음으로 제각기 방향을 찾아 흘러가지만 그의 가슴의 고백은 행복만은 아닌 것은 너무나 많이 보아 온다.

   그것은 웬일일까?「그것은 한마디로 행복의 법칙을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행복을 구한다고 한다. 행복이 무엇이기에 어떤 것을 구한다고 하는 것일까.

   돈인가, 부귀인가, 권세인가, 아들 딸 많은 것인가, 건강인가, 아니면 욕구충족인가, 그 모두인가.

   만약 이것들이 행복이라면 돈 많으면 크게 행복할 것이다. 권세 잡으면 크게 행복할 것이다. 천자만손(千子萬孫)이면 행복할 것이다. 건강하면 행복할 것이다.

   과연 그러한가? 역대 돈환이 행복했으며, 천하무적 복서나 레슬러들이 행복했던가, 억만장자 재벌들이, 또한 권문세가들이 과연 행복했던가.

   대개 물질이나 형상 있는 것 감각적인 것을 행복의 표적으로 알고 찾아 헤매고서는 결코 행복은 잡히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들 물질적인 것 형상이 있는 것, 감각적인 것들은 행복요소의 외형이요 겉치레요, 잔재(殘滓)이지 그것이 행복 자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그림자이지 실체가 아니기 때문에 잡았다고 할 때는 이미 놓치고 없는 것이다. 아무리 물질적 감각적 여건을 완비해 보라. 거기에 행복의 신이 찾아드는가.

   거기에는 갈등과 대립과 갈증과 거친 인심과 기계적 잔인성이 인간의 가슴속에 깊숙이 공동(空洞)을 장만하고 뼈 속 깊이깊이 처참한 공허가 스며들 것이다.

   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유물론적 행복관이 난무하고 있다. 그래서 물질적 감각적 추구가 행복인줄 알고, 물질 획득을 행복 획득으로 알고 있다. 곧 이것을 가치로 알고 있다.

   과연 물질 획득이 곧 행복 획득이었던가? 부자가 된 분은 대답해 보라.

     [3] 물질적 감각적 행복은 물거품이다

   그러면「행복의 법칙」이란 무엇이란 말인가?「물질은 물질 아닌 것의, 형상 있는 것은 형상 아닌 것의 그림자」라는 사실을 알고 이 그림자를 넘어선 저 너머의 실자(實者)를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물질은 그림자이며 형상은 꿈이며 감각적인 것은 환(幻)인 것을 모르기 때문에 이 꿈이며 환이며 그림자가 아닌 실자에 착안하지 못하는 것이며 동시에 환이나 그림자나 물거품을 잡으려고 애쓰고 허덕인다.

   그리고 그와 같이 노력하고 기를 쓰고 진땀을 흘려서 얻은 행복이란 것을 잡았을 때는 이미 공허를 안겨준다. 그것은 실(實)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물질은 그림자라는 사실을 철저히 알아야겠다. 이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독자 여러분은 반야심경을 아실 것이다. 그리고 그 첫머리에「오온(五蘊)은 다 공(空)했다.」한 구절을 기억하실 것이다.

   이 반야심경은 진리에 들어 자재와 행복을 얻는 방법을 설한 경이라 해도 좋다. 그래서 짤막한 말씀 가운데 진리의 뜻이 풍성히 담겨 있다. 여기「오온이 공했다.」한 것은 대자재를 성취한 관세음보살이 대지혜로써 보니 오온은 공했다고 말씀하셨다.

   오온이란 무엇인가? 오온이라 함은「다섯 가지의 쌓임」또는「다섯 가지 구성요소」의 뜻인데 물질과 정신의 총체를 가리킨 말이 된다. 다섯 가지란 색(色)— 즉 물질계와, 수(受)— 감각, 상(想)— 표상, 행(行)— 의지, 식(識)— 의식 등의 정신현상을 말한다.

   다음에 공했다는 것은「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 원의(原意)다. 인도 수학에서는 영(零)을 의미한다. 그래서 오온은 있는 듯 하지만 그림자일 뿐 없다는 뜻이 된다.

   또 금강경에는「일체 현상계는 꿈이며 환이며 물거품이며 그림자이며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도 같으니 이와 같이 여길지니라.」라고 말씀하신다.

   위의 부처님 말씀에 의한다면 우리가 현상에 눈을 팔리고, 물질에 마음을 빼앗겨서 거기서 가치니 행복이니를 찾아 헤맨다는 것이 신기루에 현혹된 사막의 나그네와 무엇이 다른가. 그래서 그에게는 행복은 커녕 공허와 실의와 갈증이 엄습해 오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현대인의 번뇌의 근원을 여실히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복을 구한다면 마땅히 그림자 아닌 실자를 찾아야 한다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