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난 여인을 도반으로 삼다
상태바
바람난 여인을 도반으로 삼다
  • 관리자
  • 승인 2008.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으로 떠나는 산사여행 / 내 마음의 능동태 순천 조계산 송광사
▲ 송광사를 품에 안은 조계산은 모성(母性)의 산이다. 깊이 들수록 더 정결하면서도 아늑한 모성의 산길은 별격(別格)의 치장이 전혀 없다. 그 산길을 닮아서일까. 포행에 나선 두 스님의 둣모습도 참으로 맑고 정결하다.

봄의 조계산은 내 마음에서 언제나 능동태다. 누가 손짓해 부르지 않아도 송광사 뒤편, 천자암 가는 돌무지 길섶 따라 기찻길 옆 오막살이처럼 옹기종기 피어 있는 얼레지 꽃길은 해마다 나를 길 뜬 설움에 젖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네 삶은 모두 자작극인지도 모른다. 스스로 자신의 삶의 경계에 무수한 꽃을 피우고, 그것을 자신의 ‘운명’이라는 수사학적 용어로 감추고 있는지도 모른다.

얼레지의 꽃말은 ‘질투’이다. ‘바람난 여인’이라고도 한다. 삶의 치장이 없는 굴참나무와 서어나무·비목나무 아래서 부끄러움도 잊은 채 치맛자락을 함부로 걷어 올리고 연분홍 볼을 붉히고 선 그 모습은 영락없는 ‘바람난 여인’이고 그 여인이 불러일으키는 ‘질투’다.

봄 조계산은 송광사 늙은 벚꽃과 선암사 늙은 매화와 함께 목련·산수유·현호색·뱀딸기꽃·제비꽃 등으로 현란하게 치장하고 있다. 그러나 얼레지 꽃 앞에서는 이 현란한 꽃의 치장도 한갓 부수적이다. 조계산 ‘바람난 여인’은 ‘질투’가 아니라 맑은 고요와 아름다움을 상실한 중생심을 따뜻이 위무해주는 불보살의 화현이기 때문이다. ‘바람난 여인’ 앞에 마음의 합장을 올리고 산길을 걷다보면 막막하고 짓눌리고 고단한 삶과 세상이 뒷간처럼 해우되고 비워지기 때문이다.

【 절집의 큰 절집 송광사 】

송광사의 ‘바람난 여인’을 만나기 위해선 먼저 청량각(淸凉閣) 앞에 서야 한다. 돌 무지개다리 위에 서 있는 이 맑고 서늘한 누각은 사바의 남섬부주에서 수미산의 불국토로 가는 첫 관문이다. 이 누각을 통과하면 일단 사바세상의 고해(苦海)를 건너는 셈이다.

송광사 청량각은 이중적 장치를 하고 있다. 들어갈 때 보면 청량각이지만 나오면서 보면 극락교라는 문패를 달고 있기 때문이다. 맑을 청(淸)자, 서늘할 량(凉)자, 이곳에 들어설 땐 세상사 탁한 번뇌와 고통에 찌든 몸과 마음을 맑고 시원한 불국토로 바꿔 돌아갈 땐 극락 같은 불보살의 몸과 마음으로 돌아가 걸림 없는 삶을 누리라는 이중적 변주로 읽힌다.

그래서 그런지 청량각엔 세 마리의 용이 산다. 두 마리는 누각 천장에서 육중한 머리와 몸통을 함께 내밀고 있다. 그리고 다른 한 마리는 돌 무지개다리 천장에서 머리통만 거꾸로 내민 채 계곡물을 지키고 있다. 그래서 누각의 용은 쉽게 만날 수 있지만 돌 무지개다리 천장의 용은 눈여겨보지 않으면 좀체 만날 수 없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