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호 특집I] 문학의 이념과 방향
상태바
[100호 특집I] 문학의 이념과 방향
  • 이병주
  • 승인 2008.05.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0호 특집I-오늘의 보살, 무엇을 할 것인가

   보살은 산스크리트어로 Bodhisattva로 보디살타(菩提薩陀)를 줄인 말이다. 쉽게 말해,「보디」는 각(覺)을 이루고 도(道)를 구하려는 마음, 또는「각」과「도」그것이고,「살타」는 용맹하다는 뜻이다. 즉, 용맹하게 용감하게「보디」를 구하는 사람을「보살」이라고 한다. 다시 진리를 탐구하고 체현(體現)하려는데 진지하고 성실한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 된다. 그런 뜻에서, 학생이면 그 성실과 정진의 도(度)에 따라 모두가 보살로 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보살이 추구하는 문학의 이념과 방향이라면 그것은 문학인이 추구하는 이념과 방향으로 되는 것이다. 진정한 문학인은 그가 신봉하는 주의와 종교가 어떠하건 보살심(菩薩心)을 가진 보살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보살을 이렇게 광범위하게 해석해야 되느냐고 반론을 일으킬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원래 불도(佛道)는 무상심미묘법(無上甚深微妙法)인 것이다. 이를 확대하여 끝나지 않은 것이며, 이를 파고들어 추구함에 있어서 다할 수 없다는 뜻에서 그렇다.

   다만 경전의 해석에 있어서 되도록이면 선행된 스승의 준칙을 따른 것이 시간과 정력의 낭비를 적게 한다는 교훈만은 소홀히 할 수가 없다. 이를 확대 심화할 수 있다고 해서 전연 그것이 무원칙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보살이 추구하는 문학의 이념과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 것이냐 하는 것은 제기해 볼 문제이다.

   경(經) · 율(律) · 론(論) 삼장(三藏)을 전부 불교문학이라고 못할 바는 아니지만 불도는 문학이 노리는 것과는 또 다른 차원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고, 문학 또한 특히 현대문학의 개념에 있어서의 문학은 불도의 차원에서 벗어나는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그 합일점과 분기점을 살펴보는 것이 첫째로 중요한 일이다.

   문학은 보다 인간적인 진실, 나아가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이란 뭣일까, 이에 이르는 지혜가 무엇일까 하는 점에서 불도와 합일한다. 설혹 문학이, 인간의 행복은 끝끝내 불가능한 것이라고 증명할 경우에 있어서도 행복에의 동경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일 때 불도의 테두리 안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