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의 운수시절] 몰현금(沒鉉琴)을 들어라 3
상태바
[노사의 운수시절] 몰현금(沒鉉琴)을 들어라 3
  • 관리자
  • 승인 2008.03.2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老師의 운수시절

  ⑧봉은사 판전선원시절

 망월사 계단에서 인례(引禮)를 맡은 스님은 지금의 조계종 종정이신 고암(古庵)스님이다. 당시는 이름을 상언(尙彦)스님이라 했었다. 그해 삼동 결제는 봉은사 판전선원이었는데 역시 전쟁한 선객들이 운집하였다. 정금오(鄭金烏) 이단암(李檀庵) 이탄옹(李呑翁) 이백우(李白牛) 설석우(薛石友) 하정광(河淨光) 정운봉(鄭雲峰) 그밖에 여러 스님이 계셨는데 과연 눈 푸른 남자들뿐이었다. 정진도 짬지게 계속하였지만 당시 외호도 훌륭했다. 당시에 대중들의 이름을 보면 다들 짐작이 갈 것이다. 설석우스님은 한때 정화운동 과정에서 비구승종단의 종정을 지내셨고 그밖에 스님들 모두가 견성한 스님으로 오늘의 한국불교를 형성해간 주된 산맥인 것으로 알 것이다. 금오스님은 그 당시 이름을 운정(雲頂)이라 하였었다. 그때 외호는 을축년 장마때 78명의 인명을 구한 것으로 너무나 유명한 나청호(羅晴湖)주지를 잊을 수 없다. 그때에 여러 사중소임을 맡은 스님들이 선방대중을 극진하게 외호하였었다. 워낙 한암 조실스님이 생불(生佛)이라는 호가 널리 퍼져 있기도 하였고 유상궁 백상궁 등을 통한 궁중공양도 종종있었다. 봉은사 판전선원에서는 비록 한 철을 지냈지만 선방을 중심한 사중파 사부대중의 협동단결은 나의 기억에서 길이 잊혀지지 않는다.

  ⑨ 寒 岩 스님의 마지막 행각

 을축년 겨울 안거를 마치니 큰스님께서 행각을 나서게 되었다. 물론 시자인 내가 모시고 떠났다. 주로 서울과 강화 개성지방 일대를 다녔다. 서울에 남삼막 · 북승가 · 서진관 · 등불암은 말할것도 없고 문수암 태고암과 강화 전등사 · 정수암 · 적석사 ·백련암 보문사를 두루 참배하였다. 생각해 보면 우리 조실스님의 행각 뿐만 아니라 외부출입은 이것이 마지막이었는가 한다. 이 행각을 끝으로 오대산에 들어가시어 열반 때까지 오대산에서 내려오시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화에서 발을 옮겨 장단 화장사 · 법련사 · 원통암 그리고 개성의 경천암 자리와 칠성암 지족암을 둘러 박연폭포도 돌아보았다. 그런데 내가 스님을 모시고 행각하기는 이것이 처음이었고 이 여행 끝에 서울에서 오대산으로 들어가시던 그 행차가 마지막이었다. 형편닿는 대로 내 인상에 남은 우리 스님상을 언젠가는 그려 볼까 하지만 여기서는 행각하며 있었던 일을 기억나는대로 한 두가지 말해 볼까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