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출판·잡지의 흐름과 나아갈 방향
상태바
불교 출판·잡지의 흐름과 나아갈 방향
  • 관리자
  • 승인 2008.03.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월간 「불광」 400호 기념 특별 좌담

참석자 : 김형균 _ 동쪽나라 대표, 김호성 _ 동국대 인도철학과 교수, 형난옥 _ 현암사 전무

진 행 : 류지호 _ 월간 「불광」 주간

---------------------------

류지호 _ 월간 「불광」은 34년간 ‘불광출판사’를 함께 운영하며, 문서포교의 한 축을 담당해왔습니다. 「불광」이 이번 2월호로 지령 400호 발행을 맞게 되었습니다. 이에 불교 잡지 및 출판의 위상을 제고하는 의미에서, 불교 출판·잡지의 현재를 진단하고 발전적인 대안을 논의해보기 위해 좌담회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우선 불교잡지의 역사에 대해 ‘동쪽나라’ 김형균 대표님께서 간략하게 짚어주시기 바랍니다.

김형균 _ 1910년에 창간된 「원종(圓宗)」을 비롯해 「조선불교월보」(1913년 창간), 「해동불교」(1913년 창간) 등 불교잡지가 태동된 지는 오래 됐습니다. 하지만 얼마 못 가 모두 폐간되었고,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 것은 1970년을 전후하여 시작되었습니다. 「법륜」과 「불교」가 재창간되고 월간 「불광」, 「여성불교」 등이 이 무렵 창간됐습니다.

이후 1980년대는 불교잡지의 홍수를 이룬 시기입니다. 본격적인 종합잡지로 「불교사상」, 「선사상」, 「금강」이 발간돼 인기를 끌었고, 최초의 사보(사찰잡지)인 「해인」지를 비롯해 30여 종의 사보가 발간되어 사찰 홍보와 신도 교육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그리고 「대중불교」, 「법회」, 「정토」, 「보리수」 등 신행단체와 신도회에서 신앙운동 성격의 잡지를 펴냈습니다. 그리고 80년대 말에는 최초의 어린이 불교잡지인 「굴렁쇠 어린이」가 창간됐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고사되거나 명맥만 잇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류지호 _ 수많은 불교잡지가 창간과 폐간을 거듭했는데, 불교잡지가 담당했던 역할과 어려움은 무엇이었습니까? 또 일반 출판계에도 잡지가 있는데 상황은 어떻습니까?

김형균 _ 불교잡지는 기존 불자들에게 신심을 증진시키고 수행에 도움을 주며, 일반인들을 불교로 인도하는 문서포교의 중차대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불교잡지는 불교의 생활화 운동을 펼치며 대중불교의 시대를 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리고 군부대, 교도소, 병원 등에 무료로 잡지를 공급하며 소외된 이웃들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에도 기여를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많은 불교잡지가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하는 어려움은 고질적인 재정난에 있을 것입니다.

불교잡지는 90년대 하향 추세로 접어들며, 그 흔적만 남아 있습니다. 「불광」은 지금까지 잘 이끌어오고 있는데, 다른 잡지와 비교가 안 되는 실로 대단한 성과입니다. 저도 「굴렁쇠 어린이」를 5년간 이끌어왔지만, 그 어려움은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어린이문화를 불교적으로 창달한다는 것은 한국불교의 미래를 생각할 때 매우 중요하지만 날이 갈수록 요원한 일이 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솔직한 견해를 밝히자면 불교잡지가 앞으로 크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형난옥 _ 출판 잡지도 상황은 비슷하다고 봅니다. 「출판저널」이 꽤 오래 출판을 대변하는 종합서평지 역할을 해 왔습니다만, 독립채산이 안 되다 보니 존속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출판계 안에서는 필요성을 느끼지만, 많은 독자들의 주목을 이끌어내지 못하여 휴간과 복간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또 출판 기획과 관련한 현안과 경험을 토론하고 소개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기획회의」라는 잡지가 있습니다. 출판기획을 생각하는 이들의 기획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추세를 읽게 하는 데도 일익을 담당하고 있긴 합니다만, 수익성은 그다지 높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정보의 보고였던 잡지는 이제 치열한 매체 경쟁 속에서 재정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독자들의 행보를 잡지 못한다면, 살아남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대자본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독자들의 욕구를 어떻게 충족시키며 생산자와 소비자 간에 어떤 구조를 만들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절대 절명의 시기인 것 같습니다.

류 지 호 _ 인터넷이 발달하고 다양한 영상 매체가 세상을 주도하는 현실 속에서 잡지의 앞날이 밝지만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불교출판의 경우는 상황이 어떻습니까?

김호성 _ 저는 1986년부터 필자, 번역자로서 불교출판에 관여해왔습니다. 불교출판사의 어려움은 인세와 관련해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있습니다. 초판 인세 대신 책을 받아서 주변에 나눠주는 형식인데, 재판 안 찍으면 책 내서 돈 한 푼 못 받습니다. 저도 한때는 책만 써서 밥 먹고 살아가는 것이 꿈이었습니다. 그런데 그것은 이루어질 수 없는, 정말 꿈에 불과하다는 냉혹한 현실을 얼마 지나지 않아 깨우치게 됐습니다. 그렇다보니 필자의 저술 욕구가 떨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제가 지난 3년간 불교출판문화협회가 선정하는 ‘올해의 불서 10’ 심사위원을 했는데, 지난해 같은 경우 수확이 빈약했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