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튼튼, 불교교리 한 토막] 7.제행무상(諸行無常)
상태바
[기초 튼튼, 불교교리 한 토막] 7.제행무상(諸行無常)
  • 관리자
  • 승인 2008.02.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行)은 사물의 운동이 아니라 분별하는 마음 작용이다

인생무상(人生無常)! 이 말에는 많은 의미와 감정들이 중첩됩니다. 보통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에서 이야기합니다. 허무감이 많이 묻어나는 말입니다.

이 말은 불교를 접한 사람에게는 제행무상(諸行無常)을 떠올립니다. 제행무상은,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인 삼법인(三法印) 가운데 하나입니다. 보통 삼법인은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 또는 열반적정(涅槃寂靜)을 말합니다. 따라서 불자들은 이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반대로 제행무상이란 말을 처음 듣는 사람은 ‘인생무상’에서 오는 허무감으로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불자들은 말합니다. “제행무상은 인생무상처럼 허무감을 던져주는 말이 아니라 이 세상의 모습을 말한다. 변화하는 이 세상의 모습을!”

보통 제행무상을 이해시키고자 쉽게 설명합니다. “자, 봐라. 겨울이 가면 봄이 온다. 해가 뜨면 해가 진다. 어린이가 청년이 되고, 곧 노년이 된다. 어느 것 하나 항상한 것은 없다. 모든 것은 다 변화한다. 무상이다. 이 무상을 가장 잘 가리키는 말이 행(行)이다. 그래서 제행무상이다.”

여기서는 행(行)의 의미를 사물의 변화, 운동, 움직임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세상 모든 것은 변화·운동한다는 측면에서 ‘세상 모든 것’을 ‘제행’이라는 말로 대신합니다. 세상 모든 것은 그렇게 변화·운동하는 것이니, 항상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이렇게 말하는 저변에는 “세상은 이처럼 변화하는 것이니, 무엇을 붙잡아 두려고 하지 말라. 붙잡아 두려고 하니, 괴롭지 않은가!” 참으로 쉽게 와 닿는 설명입니다. 이렇게 설명해도 결국 우리 마음으로 돌아갑니다.

그런데, 제행무상의 의미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대승)대반열반경』 권13의 게송에서 ‘제행무상’의 의미가 새롭게 다가옵니다. 이는 설산동자와 관련된 게송입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