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을 위한 불교이해 (5)
상태바
현대인을 위한 불교이해 (5)
  • 관리자
  • 승인 2008.01.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교와 이지가 상반하는가.

       만약 학술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현대 종교가 될 수 없다.

    범어로 윤회는 sam sara다.  流轉,  輪轉의 뜻이 있다. 시냇물은 흘러서 강으로 가고 강물은 바다로 간다.  바닷물은 다시 안개가 되고 구름이 되고 비가 되고 눈도 된다. 그래서 다시 땅으로 내려오고  시내로 흐른다.  이래서 유전이다.  이 윤전은 시작도 끝도 없다.  수레바퀴가 도는 것 같다. 번뇌와 업으로 인하여 중생들은 三界六進의 迷의 세계를 돌고 돌며 죽음과 남(生)을 반복하며 돌고 돈다.   이 사회에서 울고 웃고 한숨 짓고 다시 죽어 간다. 그러면서 그 사이에 인간은 부단히 자기와 자기세계를 만들어 간다.  마치 누에가 고치를 짓듯이.

   어떻게 하면 윤회의 쇠사슬에서 벗어날까?  다음에 다시 계속한다.

    [1]  理知와 불교

   인간이 동굴생활을 하고 있던 시절로부터 우주여행을 꿈꾸고 수중도시를의 논하는 현대 사이에는 엄청난 변화가있다.  이 변화를 할말로 문화의 발달이라고 한다. 그리고 문화의 발달이란 理智의 진보를 의미한다.  엄밀히 말해서 오늘의 문화가 과연 참된 의미의 이지의 진보냐? 하고 의문을 받는 것을 고려해 넣는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문화의 발달과 이지의 진보와의 등식관계는 부정하지 못한다.

   그것은 우리의 지식이 향상되고 이론이 보다 세분 조직화하며 생활이 부단히 합리화를 거듭하고 있다는 사실이 기초에 강한 이지의 빛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문화의 진보란 이지에 의하여 비로소 가능하다. 문화뿐만 아니라 우리의 불교도 이지에 의하여 이해되고 또는 이지가 끊긴 이지에 의하여 불법이 밝혀진다. 그것은 불교의 교의적 체계가 역시 이지적 체계로 존재하기 때문이며 한편 불교가 염원하는 불법은 이지가 끊긴 근본지의 경계이기 때문이다.

   교학적 입장에서만 말한다면 불교는근본적으로 이지주의다.그러므로 불교는 학술일 수도 철학일 수도 있다. 다른 모든 학술과 나아가는 방향이 같다. 이런 입장에서 보면 문화도 이지에 의하여 진보하고 불교도 이지에 의하여 이해된다.  우리 인간사회의 모두는 이지에 의하여 기초가 굳혀지고 있다 할 것이다. 이것은 다툴 수 없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런 결론은 아무 종교에나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서구사회에서는 이지의 진보와 신앙의 이해와는 정반대의 관계에 있어 왔다. 즉 이지의 진보는 종교를 버려야 한다는 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이지의 진보는 종교영역의 축소를 의미했다.  고도의 세련을 거친 오늘의 종교에도 역시 이런 면이 남아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무엇보다도 종교는 반이지적이라는 생각에 기인한다.  知는 신앙에 유해하다는 종교의 태도가 종교의 지적 이해를 거부하거나,  그가 견지하고 있는 종교적 교의가 지적 욕구를 포용하지 못했거나  공격을 감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학술,  철학의 욕구를 감당하지 못하는 종교는 오늘의 종교로서는 존립하지 못한다. 오히려 철학이 미치지 못한 곳을 향하여 그를 인도하고 그가 막다른 장벽을 타개하는 활로를 보여 주는데 오히려 오늘의 종교의 참 의의가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