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 신라불교설화에 나타난 불기(不羈)의 인간상
상태바
[논단] 신라불교설화에 나타난 불기(不羈)의 인간상
  • 황패강
  • 승인 2008.01.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단

 우리 나라 불교문화의 황금시대는 신라왕조시대라고 할 수 있다.   신라의 문학 특히 서사문학은 불교문학의 수준높은 것이었다. 여기서 다루려고 하는 것은 신라문학을  대표하는 불교설화 가운데 이른바 「매이지 않은 인간상(不羈人像) 」의 문제다 신라불교설화가 창조한 여러 인물형 가운데 가장 특색있는 것으로 필자는 「매이지 않은 인간상」을 들고자 한다. 신라의 설화를 읽어 나가면서 가장 감동적인 것이 있었다면 「매이지 않은 인간상」과의 만남이 아닐 수 없다.  감동적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충격적이라고 표현하는 편이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  

 딱딱한 껍질을 벗어던진, 참으로 자유로운 인간  그런 까닭에 아무 걸림없이, 까다로운 절차도 없이 진실이 다만 있는 그대로 그 앞에 나타나는 그런 인간상이다. 

 우리는 신라불교설화를 통해서 이런 종류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그들과의 만남을 통해 우리는 얼마나  매이어 있는 존재며 소견이 좁고,  통량이 옹졸한가를 아프게 느끼며 부끄러워 하게 된다.  진실을 보기에 부자유한 나 자신의 「존재」에 눈을 뜨게 된다.  

 형제의 눈안의 작은 티를 골라 내기에 급급한 동안, 그리고 옳고 그른 것을 따지기에 힘과 열을 다하고 있는 동안에 우리는 더욱 더 진실에서 멀어지고, 더욱 부자유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는 인간상이다. 

 그물에 걸려 사는 인간들이 그물에 걸려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는 어리석음을 눈뜨게 하고, 그물을 벗어나는 것과 자유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직접 체험시켜 준다.  

 그물에서 벗어난 사람만이 진실을 보는 자유가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 준다.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원효  매이지 아니하다(元曉不羈)」라는 제목의 원효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어떤  날 원효는 길거리에서 노래를 불렀다.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빌려주겠는가? 내 하늘을 받칠 기둥을 찍으련다.((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수허몰가부 아작지천주))」

 아무도 노래의 뜻을 알아듣는 이가 없었다.  오직 한 분 태종임금이 노래의 속뜻을 알아차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