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의상(義湘)의 근본사상
상태바
[특집] 의상(義湘)의 근본사상
  • 김지견
  • 승인 2008.01.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전통사상의 현재

   1, 서   언 (緖  言)

 경전이나 어록(語錄)은 부처님, 조사님이 친히 일러 주신 말씀이지마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서 경전관(經典觀)이나 어록관(語錄觀)이 현저하게 달라지는 예를 우리는 보아서 알고 있다. 승가승상(僧伽僧像)도 지역과 시대에 따라서 숭배하는 예의 양상이 달라지는 것도 사실이다. 필자는 한국불교 千六百년의 장구한 세월 속에서 오늘의 승가상의 사표(師表)로 삼음직한 가장 바람직한 분을 한분만 고르라고 하면 서슴치 않고 의상대사님이라고 대답하겠다.

 의상대사를 알려면 먼저 『화엄경』을 알아야 겠다. 화엄경은 동양문화의 정화(精華)라고도 하고, 불교 경전으로서만 아니라 많은 지역에 여러 방면에서 특히 예술과 문학방면에도 많은 영향이 미치어 있다고 보아진다. 화엄경은 대승불교 경전 가운데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 내용은 불타의 대오(大悟)하신 경지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리불(舍利佛)이나 목련(目蓮)같이 훌륭한 불제자들까지도 벙어리와 귀머거리처럼 붇다의 설법이신 화엄경의 내용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 정도로 이 경전의 내용은 복잡하고도 자상(慈詳)해서 쉽사리 이해가 안간다. 그러나 확실하게 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정독하는 동안에 무엇인지 방도(方途)도 없이 무변대해(無邊大海)와도 같은 붇다가 대오하신 경지에 우리들의 마음이 다가서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 사상의 근본적인 특징은 사사무애와 법계연기에 기인했다고 한다. 즉 궁극의 진리의 입장에서 살펴 보면 일체 사상(事像)이 상호연관성을 지니고 성립되었으면서 서로 걸림이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 진리성의 질서 체계도 서로 엉켜 보이지마는 그것들이 오히려 겹쳐 어긋남이 없고 그로써 더욱 빛나고 있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입장에서 보살들의 실천의 덕목이 설해진다.

 보살도의 실천에는 자리와 이타의 이대(二大)방향이 있고 그의 실천에 있어서는 타(他)를 구제하는 것이 자리이기 때문에 자리 즉 타리인 것이다. 의상은 이와 같은 화엄사상의 종지를 실천궁행한 중국화엄종의 제이조(第二祖)인 지엄(智嚴)의 문하에 유학하였다. 거기서 『화엄일승법계도』를 제작하여 지엄문하의 이채(異彩)가 되었다. 의상이 귀국하여 부석사에 화엄의 근본도량을 정하고 도제(徒弟)들을 영도할 때 천(千)여인이 운집 했었다고 임덕(林德)은 『법계도총수록(法界圖叢髓錄)』에서 회술하고 있다.

 신라시대의 고승이면 누구고 화엄학을 연구했었던 것은 사실이나 우리들의 정신문화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불국사도 화엄학이 전성기에 지상에 불국토를 실현키 위해서 창달되었고, 역대의 주승(主僧)들이 의상계의 인재들이었다는데에 의의를 가진다.  화엄학은 신라시대에 많은 저술들이 있었으나, 후세에까지 그의 연구가 계승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의상대사의 경우만은 다르다. 즉 고려시대의 균여(均如)는『화엄일승법계도원통기(華嚴一乘法界圖圓通記)』二권의 저술을 남겼는데 그 내용은 화엄교리 연구에 없지 못할 귀중서이며, 특히 지엄(智儼)의 칠십이인(七十二印)과 의상의 근본인(根本印), 그리고 오중해인(五重海印)등의 원리가 상세히 검토되었다는 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