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80건)

한국 불교 개론, 한국 불교 수행에 이은 삼부작 완결편이 책은 지난 2009년 발행된 『Korean Buddhism』, 2011년 발행된 『6 Ways to the Heart』에 이은 삼부작 형식을 취하고 있다. 2009년 발행된 『Korean Buddhism』은 한국 불교를 알고자 하는 영미권 독자들에게 한국 불교 개론서 역할을 해왔고, 2011년 발행된 『6 Ways to the Heart』는 간화선, 염불, 간경 등 한국 불교의 수행법에 대해 심도 깊게 다뤘다. 이번에 발행된 『Encounter with the Beauty of Korean Buddhism』은 개론과 수행에 이어 한국 불교의 ‘문화’ 그중에서도 유형문화재를 중심으로 한국 불교의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특히 이 책은 형식을 중심으로 소개하던 기존의 양식사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며 시대별 배치나 특징별 배치를 완전히 배제하고 있다. ‘불교 문화재에 대한 한국 불교의 신앙’이라는 발간 취지에 맞춰 각각 돌, 나무, 종이 등으로 크게 나눠 그것이 각각 어떤 염원이나 신앙을 안고 ‘성보’가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1장 「돌에 새겨진 신앙」에는 석굴암을 필두로 백제의 미소로 불리는 서산 마애삼존불 등의 불상과, 석가탑과 다보탑 그리고화엄사 석등과 월랑선사 탑비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2장 「붓으로 그린 신앙」에서는 세계인이 감탄해 마지않는다는 고려불화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소장하고 있는 고려불화뿐 아니라 일본에 넘어간 고려불화의 도판까지 싣고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고려불화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3장 「나무에 새겨진 신앙」에는 부석사 무량수전, 금산사 미륵전 등 나무 하나하나에 간직되어 있는 한국 불교의 숨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불교종단협 | 호수 : 0 | 2013-01-29 14:54

2013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불교의 핵심 교리는 마음 치유와 어떻게 체계적으로 연결되는가?불교를 처음 만날 때, 우리는 사성제와 팔정도가 무엇인지 외우고, 무아와 무상과 연기의 원리를 이론으로 배운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이 가르침들을 별 생각 없이 ‘진리’로 받아들이고 넘어간다. 우리 삶과 붓다의 가르침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깊이 생각하고 몸으로 익히려 애쓰는 이는 많지 않다. 이 때문에 불교 핵심 교리들이 소위 ‘죽은 지식(알음알이)’으로 전락하는 것이다.오랫동안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을 추구해온 서광 스님은 불교를 심리학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붓다의 가르침을 우리 삶의 현장에서 살아 숨 쉬게 하는 한 방법이라고 말한다. 스님이 보기에 붓다는 우리의 마음병을 고치기 위해 가르침을 폈다. 우리가 인간관계에서 겪는 갈등을 해결하고 인생에서 마주치는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붓다가 ‘심리 처방전’을 지어줬다는 뜻이다. 많은 선지식이 팔만사천법문을 마음 심(心) 자 한 글자로 줄일 수 있다고 한 것 역시 바로 이런 뜻이라고 저자는 풀이한다. 이 책은 붓다가 편 가르침을 심리학 관점에서 새롭게 보면서, 불교의 핵심 교리가 마음 치유와 어떻게 체계적으로 연결되는지를 탐구했다. 그 결과 공부를 위한 공부, 수행을 위한 수행이 아닌 ‘마음 치유를 위한’ 불교 입문이 완성되었다.

서광 스님 | 호수 : 0 | 2012-10-22 12:33

고려대장경 천 년과 대각국사 의천의천은 문헌결집, 말하자면 책에 삶을 걸었던 인물이다. 그 삶의 중심에 『고려속장경』, 『교장(敎藏)』이 있다. 누구도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일, 그런 일을 해냈다. 고려 『교장(敎藏)』은 그 규모만 따지더라도 세계사적인 의의를 지닌 큰 일임에 틀림이 없다. 송, 거란, 일본에까지 장소를 수집하여 이룩한 4,000여 권의 대규모의 문헌집성인『교장(敎藏)』은 불교라는 특정 종교의 문헌들을 집성한 것이긴 해도 불교라는 틀 안에서 평가하기에도, 선종이나 교종 등의 종파적인 관점에서 보기에도 그 의의와 가치는 너무도 큰 것이다.저자는 의천에 관한 기록을 모두 찾아 조사하면서 의천의 송나라 구법여행길을 기록에 나온 대로 걸으면서 그 자취와 새로운 기록을 찾아내었다. 마치 퍼즐 조각 맞추듯 하나씩 맞추어 가면서 세상 밖으로 의천을 이끌고자 하였다. 자잘한 조각과 단편들에 기대어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 막연하기는 하지만 무턱대고 심증을 늘어놓을 수만도 없었다. 그래서 저자는 남아 있는 기록과 흔적을 있는 그대로 많이 소개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섣부른 해석을 읽는 것보다 훨씬 재미도 있고, 생동감도 더한다는 생각으로 천 년 전 의천을 우리 곁으로 끌어내는 데 노력을 마다하지 않았다.

오윤희 | 호수 : 0 | 2012-09-18 15:31

에서 사용한 판본은 에 수록된 본으로 이 판본에는 진수정원의 에 명나라 운서주굉의 보주가 첨부된 본이다. 운서주굉의 보주는 진수정원의 절요에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더욱 온전한 가 되도록 일조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분명치 않은 과목을 자세히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의 역주자 효관은 정확하고 명징한 번역과 총 500여 개가 넘는 용어 해설 주석을 달아서 현대인이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에서 사용한 판본은 에 수록된 본으로 이 판본에는 진수정원의 에 명나라 운서주굉의 보주가 첨부된 본이다. 운서주굉의 보주는 진수정원의 절요에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더욱 온전한 가 되도록 일조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분명치 않은 과목을 자세히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의 역주자 효관은 정확하고 명징한 번역과 총 500여 개가 넘는 용어 해설 주석을 달아서 현대인이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은 대승경전이 형성되기 이전인 기원 전후에 편집된 것으로 간주되는데, 통상적으로 초기불교 계열로 분류한다. 바라제목차를 스승으로 삼아 청정한 계를 지키고, 마음을 다스리며 삼독과 오욕의 번뇌를 억제하고, 음식과 수면을 조절하며 성내거나 교만하지 말 것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소욕(小欲)· 지족(知足)· 원리(遠離)· 정진(精進)· 불망념(不忘念)· 선정(禪定)· 지혜(智慧)· 불희론(不戱論)의 여덟 가지의 공덕을 잘 닦아서, 방일하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하라는 마지막 당부의 말씀이 담겨 있다.

진수정원 절요 외 | 호수 : 0 | 2011-02-15 11:00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